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면증이란, 불면증으로 인한 질환, 불면증의 원인, 해결 방법

by 웰라이프 다이어리 2023. 6. 30.
반응형

불면증이란?

불면증이라고 하면 대개 잠을 쉽게 들지 못하는 것을 떠올리지만, 일단 잠이 든 후 자주 깨는경우나, 잘 자다가 새벽에 깨어 뜬 눈으로 아침을 맞는 경우 등도 해당됩니다. 대한민국의 많은 사람들이 아마 자신들은 잘 자고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많은 분들이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최근 불면증 환자들이 급속이 늘고 있는데요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각종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2008년도 37명에서 2012년에는 57만명으로 무려 84%나 증가했습니다.

불면증으로 인한 질환

잠이 보약이라는 말처럼 수면은 우리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불면증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불면증은 단순히 잠에 못 드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불면증을 방치하면 다른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불면증과 당뇨병, 심혈관 질환

우선 불면증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질병 중에 당뇨병을 꼽을 수 있습니다.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사람은 6시간 이 자는 사람보다 당뇨병의 위험이 3배 이상 높다고 합니다.  또한 불면증은 혈압을 상승시켜 고혈압이나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며, 더 나아가선 심부전증과 심장병의 위험도 높이게 됩니다.

2. 불면증과 뇌졸중

 또한 뇌졸중에 걸릴 확률이 증가합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면 불면증 환자에서는 혈관 속 염증세포의 활동이 증가하고  내분비계와 대사의 교란이 일어나 혈관에 나쁜 영향을 줘 뇌졸중이 많이 일어납니다. 특히 뇌졸중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 비만을 갖고 있다면 불면증을 동반할 경우 뇌졸중 발병위험이 더 커지게 됩니다. 반드시 불면증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3. 불면증과 수명단축

인간에게 적당한 수면시간은 7~8시간인데, 그에 미치지 못하면 질병 등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아져 수명시간이 단축됩니다.

4. 불면증과 치매

인간의 뇌는 수시로 다양한 찌꺼기, 독소가 쌓이게 되는데 제때 청소를 해주지 않으면 치매와 같은 질환을 일으키게 됩니다. 다행히도 이 무서운 독성물질은 우리가 잠자는 동안 대부분 청소가 되는데. 하지만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이 독성물질이 뇌에 쌓이게 되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거나, 더 빨리 나타나게 됩니다. 세계최고의 의대인 존스홉킨스대학에서 연구한 결과, 깨어 있을 때보다 자고 있을 때 노폐물 제거 속도가 10배나 빠르며, 잠을 적게 잔 노인일 수록 알츠하이머 병의 원인인 아밀로이드 독소물질이 뇌에 많이 남아 치매에 걸릴 확률이 매우 높아짐을 밝혔습니다. 그래서 뇌의 건강, 행복한 노년의 인생을 살기 위해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불면증의 원인

고령화와 폐경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요인부터 시작해서 수면무호흡증,약물, 정신장애 등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가 고령화와 호르몬 불균형입니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년 발표한 불면증 환자수에서 50대에서 70대 사이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의 비율로 따져보면, 지난해 남성은 37.7%,  여성은 62.3%여성들이 남성들에 비해 불면증을 1.7배 정도 많이 겪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즉 갱년기 여성이 불면증에 걸릴 확률이 가장 높아는 뜻인데, 이는 고령화된 나이로 자연스레 활동량도 줄어들고, 폐경으로 인하여 여성호르몬 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여, 몸 안의 호르몬의 균형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생리나 갱년기에 따라서 신체적인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여성분들은 이러한 변화로 인해서 민감해지고, 이 때문에 불면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등 같이 수면을 방해하는 수면장애를 겪을 확률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문제는 많은 중년여성들이 잠이 안오면 마치 열나는 환자가  해열제를 먹는 것처럼 수면제를 먹는식으로 해결을 하시는데, 이는 굉장히 잘못된 방식으로, 이럴 경우 불면증이 만성화가 되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

임산부 혹은 중년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하지불안증후군은 신경계질환으로 주로 잠들기 전에 다리에 벌레가 기어다니 듯한 증상, 저린증상,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서 수면을 방해는 질환으로 국내 약 5.4%가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주로 낮보다 밤에 잘 발생하고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심해지고, 움직이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뇌의 신경전달기능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비만과 수면무호흡증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심한 코를 골다가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증상으로 1시간당 5번 이상 나타나면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을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이 반복되다 보면 수면이 이루어지지 않고, 무호흡에 의해서 자꾸 뇌가 깨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본인은 6시간, 7시간 수면을 취해도 실제로는 반복돼서 깼기 때문에 많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단지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뇌질환 등 심혈관, 뇌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이 커지게 되는데요. 수면무호흡증의 가장 큰 원인은 비만입니다. 체중이 10% 늘면, 무호흡증이 생길 확률이 25%에서  30%로 증가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해결 방법

불면증은 우리가 알고 있던 것 이상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며, 자칫하면 생명까지 앗아갈 정도로 무서운 질병입니다.

또한 중년여성이면 누구나 불면증의 고통으로부터 피해가기 어렵다는 것 또한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알면 치료법을 알 수 있다고, 불면증의 원인은 크게

   ① 폐경 이후 호르몬의 불균형과

   ② 신경계의 이상에서 오는 하지불안증후군

   ③ 비만으로 오는 수면무호흡증이므로

3가지 원인을 잘 다스리면 불면증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잠이 보약이란 말이 있듯이, 건강한 삶의 첫걸음은 충분한 잠입니다. 충분한 잠은 우리가 건강하고 행복한 인생을 사는데 반드시 필요합니다. 건강한 잠, 행복한 인생을 위해  3가지 원인을 잘 다스리는 습관을 길러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