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급발진이란?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거나 살짝 밟았음에도 엔진에서 비정상적인 굉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운자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갑자기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현상을 급발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급발진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고 민사 소송에서도 단 한건도 급발진을 인정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급발진이 발생해도 제조사로부터 보상을 받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자동차 급발진 전조증상
전조증상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여러가지 반응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가속 페달이 이상하게 느껴지거나 움직임이 불규칙한 경우 엔진 소리가 비정상적으로 크고 RPM계기판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이러한 전조증상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가장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RPM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한다는것 입니다 가속페달을 밟고 운행하다 갑자기 페달을 깊게 밟지도 않았는데 RPM이 급격히 상승하신다면 재빨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자동차 급발진시 대처 방법
1. 브레이크 페달 밟기
브레이크를 한번에 풀로 밟아야 하는데 브레이크를 밟을 떄 여러번 나눠서 밟게 되면 진공 압력이 부족해져 통제 불등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2. 변속기를 중립(N)으로 바꾸기
변속기를 중립으로 두면 바퀴로 전달 되는 힘을 차단하게 되어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사이드 브레이크 채우기
사이드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속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데,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울 때 한번에 채우면 균형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조금씩 당겨서 속도조절을 해야 합니다.
4. 장애물 이용
장애물에 강제로 접촉하여 차량을 멈출 수 있습니다. 급발진으로 느껴진다면 속도가 더 상승하기 전에 장애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급발진 예방방법
1. 시동을 걸 때 한번에 시동을 걸지 말고 키 ON 상태에서 엔진 체크등을 보고 난 후 시동을 겁니다
2. 시동을 걸고 바로 운행을 하기보다는 기어 변속 후 잠시 기다렸다가 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시동을 끌 때 기어를 다른 위치에 놓고 시동을 끄게 되면 변속기 컨트롤 유닛이 오작동 확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어는 항상 P단에 있는 상태에서 끄야합니다.